자동차 양발 운전이 위험한 이유 5가지

안녕하세요. 패롯카입니다. 최근에 줄어들긴 했지만 간간이 양발 운전하시는 분들이 보이네요. 그래서 양발 운전의 위험성에 관하여 공유해 드리려고 합니다. 사고 유발 가능성이 커짐 브레이크는 매우 민감해서 살짝만 건드려도 브레이크등이 들어옵니다. 그래서 왼발을 브레이크에 올리고 운전하면 본인은 알지 못하지만 뒤에서 보면 브레이크등이 매우 자주 깜빡입니다. 뒤에서 주행하는 차는 앞차가 브레이크 등이 자주 깜빡이면서 주행하다 보니 브레이크 등에 둔감해지고 진짜로 앞차가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인지하지 못하고 추돌 사고를 내는 경우가 생깁니다. 또한 이렇게 브레이크등이 자주 들어오는 차들을 보면 짜증이 나서 차선을 변경하는 차들이 늘어나다 보니 사고 유발 가능성이 더 커지게 됩니다. 즉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양발 운전을 함으로써 사고 유발자가 되는 것이지요. 브레이크 컨트롤이 어려워짐. 자동차 대회를 보면 레이서들은 양발 운전을 합니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시트와 안전벨트가 일반 차량과 차이가 있어서입니다. 레이싱용 시트는 뒤로 젖혀져 있고 깊습니다. 레이싱용 안전벨트는 일반 차량 3점 지지와 달리 5점 지지입니다. 그래서 어떤 상황에서도 몸이 앞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없어서 브레이크를 원하는 때만 밟기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일반 차량은 시트 포지션이 평평하고 안전벨트가 3점 지지라서 몸이 수시로 앞뒤로 움직입니다. 그래서 일반 차량에서 양발 운전을 하면 원하지 않더라도 수시로 브레이크를 건드리게 됩니다. 그리고 깊게 밟고 싶지 않은 상황에서도 브레이크를 깊게 밟게 되어 급브레이크 현상이 종종 발생합니다. 급브레이크를 자주 밟으면 당연하게도 추돌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커지겠죠? 우리는 0.001초의 기록을 다투는 레이서가 아닌 최대한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을 목적으로 하는 운전자입니다. 약한 추돌 사고에도 내가 크게 다칠 수 있음 레이싱용 차량은 브레이크가 왼쪽에 있고 일반 차량은 브레이크가 우측에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 차량에서 양발 운전을 하면 하체가 우측으로 돌아가 ...